그 곳에서 울지마오.
나 거기 없소,
나 그곳에 잠들지 않았다오.
그 곳에서 슬퍼마오
나 거기 없소,
그 자리에 잠든게 아니라오.
.
.
.
.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의 번안,
김효근 곡, "내 영혼 바람되어"의 가사이다.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Text: Mary Elizabeth Frye (1932)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I am not there, I do not sleep.
I am a thousand winds that blow.
I am the diamond glints on snow.
I am the sunlight on ripened grain.
I am the gentle autumn's rain.
When you awake in the morning's hush
I am the swift uplifting rush
Of quiet birds in circled flight.
I am the soft stars that shine at night.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cry;
I am not there, I did not die.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Maria Newman, Songs On Motherhood, Op. 36-2
Anne Marie Ketchum, sop
Maria Newman:
1962년 California, Los Angeles 태생으로
University of Rochester의 Eastman School of Music에서 공부했다.
남편 Scott Hosfeld와 현재 California, Malibu에 거주한다.
I'm not there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Lydia Bannister
난 Maria Newman의 곡에서 지금 이 시간에도 바닷가에 서서 탄식하는
엄마의 오열을, 그리고 I'm not there에서는 "울지말아요. 나 거기 없어요"라
위로하는 이름 모를 한 소녀의 음성을 듣는다.
사족:
이 곡과 연관하여 지금 넷을 달구고 있는 임형주의
"천개의 바람이 되어"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세월호 참사의 추모곡으로 헌정했다하는데 넷 정보는
노무현 전 대통령, 그리고 김수환 추기경의 추모에서도
비슷한 상황이었다 전한다. 가수 임형주가 2009년 그의 앨범
"My Hero"에 담은 노래이니 오래 전에 취입한 곡인데
그의 뜻은 이해할 수 있지만 3번째의 헌정이라니...
조금은 씁쓸한 여운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