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ncho 2013. 6. 1. 02:50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Text: Mary Elizabeth Frye (1932)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I am not there, I do not sleep. I am a thousand winds that blow. I am the diamond glints on snow. I am the sunlight on ripened grain. I am the gentle autumn's rain. When you awake in the morning's hush I am the swift uplifting rush Of quiet birds in circled flight. I am the soft stars that shine at night.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cry; I am not there, I did not die.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Howard Goodall 곡 / Christopher Maltman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Robert Prizeman 곡 / Libera 千の風になって (A Thousand Winds) Man Arai 곡 내 영혼 바람되어 (A Thousand Winds) 그 곳에서 울지마오 나 거기 없소, 나 그곳에 잠들지 않았다오. 그 곳에서 슬퍼마오 나 거기 없소, 그 자리에 잠든게 아니라오. 나는 천의 바람이 되어 찬란히 빛나는 눈빛되어 곡식 영그는 햇빛되어 하늘한 가을비되어 그대 아침 고요히 깨나면 새가 되어 날아올라 밤이 되면 저하늘 별빛되어 부드럽게 빛난다오 그곳에서 울지마오 나 거기 없소, 나 그곳에 잠들지 않았다오. 그곳에서 슬퍼마오 나 거기 없소, 이 세상을 떠난게 아니라오. 내 영혼 바람되어 김효근 곡 / 송기창 "나 거기 잠들어 있지 않으니 내 무덤에서 울지 말라" 한 망자의 유언 처럼 들리는 이 시의 원 저자는 미국인 Mary Elizabeth Frye 이다. (미 인디언의 구전시라는 설은 아마 이 시의 출처가 불분명했던 때가 있었던 탓일게다) 1932년 Baltimore에 거주하던 Frye의 집에는 유태인 학살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해 온 젊은 독일여인 Margaret Schwarzkopf가 같이 살고 있었다. 어느날 본국에 남겨진 늙은 어머니의 임종 소식을 들은 Schwarzkopf가 "엄마의 무덤에서 눈물 조차 흘릴 수 없는" (stand by my mother’s grave and shed a tear) 현실을 슬퍼하는 말을 듣고 영감을 얻어 이 시를 썼다 한다. 이 시를 text로 많은 버젼의 노래들이 있고 장례식에서 곧잘 인용되는 시이기도 하다. 일본에서는 "A thousand winds"로, 우리나라에서는 "눈"의 저자 김효근의 역으로 "내 영혼 바람되어"로 번안되 알려졌다.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song by Man Arai, 千の風になって).wma
2.19MB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rngold] Abschiedslieder, 2. Dies eine kann mein Sehnen  (0) 2013.06.03
[Korngold] Abschiedslieder, 1. Sterbelied  (0) 2013.06.01
[Richard Strauss] Verführung 유혹  (0) 2013.05.25
[Verdi] Il poveretto (The poor man)  (0) 2013.05.16
Mother Machree  (0) 2013.05.08